> 기술블로그

우분투에서 시스템의 시간대 (timezone) 변경하기

ubuntutimezone

몇 해 전부터 알리에서 서버용 CPU 를 매우 싸게 팔고 있다. 웬만한건 $20 정도면 구입할 수 있다. CPU 두개, 메인보드, 서버용 램(ECC) 을 약 20만원에 구입하여 서버를 구성하였다.

우분투를 설치하고 배치 작업을 위해 jenkins 를 설치하고, 클론으로 작업을 돌렸다. 근데 실행시간이 맞지 않아 확인해보니 서버의 시간대가 UTC 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분투 데스크탑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 화면에서 사용자의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하지만, 서버를 설치할 때 이것을 보지 못한것 같다.

시간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 모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버의 시간대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콘솔에서 명령을 사용하여 시간대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사용하는 시간대 확인하기

timedatectl 명령을 사용하여 서버가 사용하는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다.

$ timedatectl
               Local time: Thu 2025-01-15 23:36:31 UTC
           Universal time: Wed 2025-01-15 23:36:31 UTC
                 RTC time: Wed 2025-01-15 23:36:31
                Time zone: UTC (UTC, +00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시간대 변경하기

--set-timezone 옵션을 사용하여, 시간대를 변경할 수 있다. 지원하는 시간대는 --list-timezone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 timedatectl
               Local time: 목 2025-01-16 08:37:57 KST
           Universal time: 수 2025-01-15 23:37:57 UTC
                 RTC time: 수 2025-01-15 23:37:57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